Q&A | 보안개념의 새로운 변화, 더 중요한 자산을 지켜내는 제로트러스트의 시작
개요
- 행사: VM웨어 AVI 로드밸런서를 통해 구현하는 새로운 로드밸런싱 환경
- 일시: 2022-03-29 14:00 ~ 15:00
- 진행: VMware 허재홍 이사
질문과 답변
배성민
[질문] AVI의 로드밸런서 Option이 L7에서의 Option과 비교시 Option 사용에 제한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허재홍
없습니다. 모든 기능은 제약 없이 사용가능합니다.
강덕진
(질문) VDI 도입 운영시에 보안 측면에서 DDos와 같은 악의적인 외부 공격과 이상 트래픽에 대하여 통합적인 모니터링은 어떤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허재홍
DDoS 임계치 부분은 설정시, 임계치 초과되는 이벤트 부분에 대하여 정의된 로깅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원석
(질문) VDI 서버가 다운되거나 VDI 서버 연결이 중단된 경우 작업이 불가하고 VDI를 사용하면 기기에 아무 것도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직원이 오프라인으로 작업할수 없는 면이 있는데 이에 대한 보완점은 어떻게 될까요?
장혁수
[질문]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활용 방안이 궁금한데요, DAaaS에 대한 소개와 구성요소 및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여현동
[질문] 실제 서버 가상화 방식의 업무용 또는 인터넷 전용 VDI를 도입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하드웨어와 라이선스의 종류가 있을지요?
허재홍
VDI용 CCU 기반의 라이센스가 별도로 존재합니다. VMware VDI의 경우 대부분의 vSphere기반의 VM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 uAG/CS. 서버용 LB 형태로 구성할 수있습니다.
주창원
당사는 현재 이 제품을 설치 및 구매할려고 합니다 비용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허재홍
라이센스는 VM 또는 베어메탈로 구성되고 vCPU 단위의 가격으로 산정되어 있습니다.
구매/데모 관련해서는 VMware로 연락주시면 F/U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전영진
[질문] 레거시 로드밸런싱 장비를 AVI 로드밸런서로 교체할 때 일반적으로 어떤 사항들을 주의하도록 권장하시나요?
허재홍
ALB 구성은 대부분 vSphere. 인프라의 VM 형태로 구성되고 A-A를 권장으로 하기 때문에 트래픽 처리가 프락시 형태(사용자 IP가 ALB IP로 변경됨)로 동작합니다. XFF를 통해서 사용자 IP를 백엔드에서 트래킹 할 수 있는 요건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부분이 허용안되는 경우 A-S로 구성되는 부분이 있이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설계/고려 되어야 합니다.
문주웅
질문] 기업에서 VMware AVI 로드밸런서를 활용하여 로드밸런싱 환경을 최적으로 구축하려는 경우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점검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여현동
[질문] VMware는 로컬 또는 원격 보안 브라우징을 제공하는지요?
이세원
[질문]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로 바꾼다고 했을때 장애가능성도 올라가지 않나요?
허재홍
ALB를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은 퍼블릭 클라우드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있는데요, ALB를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구성할 때, 인프라는 vSphere를 선호합니다. vSphere 환경에서는 vSphere에서 제공하는 가상 스위치 계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 드린 A-A의 클러스터 구성으로 장애 포인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경석
(질문) 도입시 가장 고려해야할 사항으로는 무엇이며, 운영상 비용절감 요소가 있다면 어떤게 있습니까?
허재홍
실제 장비 도입시, 현재 서비스의 상황 파악 및 향후 증가하는 서비스의 행태 분석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 변수는 대외 변수이기 때문에 예상이 매우 어렵습니다. 결국은 사용한 만큼 또는 증가하는 트래픽에 대한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아키텍처가 제공 된다면 Capex를 줄일 수 있어서 비용절감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솔루션 자체의 확장성 및 고가용성 부분에 대한 요건을 비교하시는 것이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강덕진
(질문) 현재 실제적으로 어느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기술적 발전 방향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시나요?
허재홍
사실 LB가 제공하는 기능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결국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영속성을 위하여 구성되는 LB. 컴포넌트들을 네트워크 운영 입장에서는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install 보다는 day2 operation( 모니터링/향후 변경관리) 부분이 중요해 줄 수있고 이 부분이 원활하게 지원되기 위해서는 SDN 기반의 솔루션이 기존의 legacy 보다는 좀 더 유연한 아키텍처를 가지고 좀 더 가치있는 운영 부분을 지원할 수 있다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여현동
[질문] HA(고가용성)보장과 TA(무중단)과는 개념이 어떻게 다른건가요? TA가 더 좋은건가요?
허재홍
기본적으로 LB가 가져가는 HA 개념은 TA를 전제로 합니다. 다만 HA 구성에서 해당 컴포넌트의 리소스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느냐가 한단계 더 발전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부분에서 ALB는 다른 솔루션 보다 좀 더 유연한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전영진
[질문]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로드밸런싱 구성시,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의 서버들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안에 있어도 하나의 가상IP주소(VIP)에 도착한 요청들을 분배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허재홍
이 부분은 환경에 대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만약 on-prem/public 사이에 VPN 또는 전용선을 통하여 L2 stretch 할 수 있을 경우 단일 VIP를 통해서 서비스 구성 가능하지만 이렇게 구성하는 부분은 비효율적입니다.
대부분 각 클라우드 부분에서 별도의 VIP를 구성하고 목적/용도에 따라 상위 DNS 계위에서 트래픽을 분기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할 것 같습니다
지정호
[질문]새로운 로드 밸런싱을 통해 클라우드 TCO 비용 절감은 얼마나 기대할 수 있는지요? 로드 밸런싱의 최적화를 위한 중요 모니터링 요소와 분석 방안은 무엇인지요?
허재홍
TCO 팩터는 Capex/Opex 모두 고려해야 하는데요, Opex 측면에서는 실제 컨트롤러를 단일 게이트웨이로 하여 여러 환경을 모니터링 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수치상으로 명확하게 하기는 어렵지만 일반 Load balancer 보다는 훨씬 더 뛰어난 기능을 제공합니다. Capex 측면에서는 만약 멀티클라우드를 사용한다고 할 경우, license portability를 통하여 일정 부분 비용 자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라이센스가 GSLB, WAF 모두 번들링 된 솔루션이기 때문에 이 기능 자체를 활용한다고 할 경우 많은 비용을 줄이면서 사용가능한 솔루션입니다.
여현동
[질문] DRS라고 하는 것이 리소스를 불균형하게 사용하고 있는 VM이 생기거나 있다면, 이것을 이상적인 리소스 활용도와 비교해서, 알려주고 관리해 주는 스케줄러인가요?
허재홍
DRS는 vSphere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며, ALB를 통해서 활용하실 수 있는 부분은 GUI를 통해서 auto scale in/out, migration 하여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주웅
질문] 모던 분산 아키텍처 기반의 ALB에서 ALB controller를 기업의 상황에 맞게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이 경우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점검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여현동
[질문] 가상VM간 무중단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한가요?
이원석
(질문) 구축에 앞서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사전에 표준화해야될 업무 목록 혹은 환경은 어떤게 있습니까
전승호
[질문] VMware AVI 로드밸런서 적용관련 최근 이슈와 해결사례가 궁금합니다.
이민수
질문] 기존 레거시 로드밸런서 관련하여 성능 관리 문제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이와 관련하여 중요하게 고려하고 점검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허재홍
ALB 자체가 트래픽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환경 변수는 PPS, Throughput, L4 CPU, Memory를 가지고 사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부분이 아니고 그냥 능동적으로 모니터링 하다가 특정 VIP에 대한 클러스터링 한다고 할 때는 간단하게 GUI 통해서 클러스터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여현동
[질문] 다른 VM서버로 자원을 넘겨서 중단없이 보호하면서 로드밸런싱(옮겨가면서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것) 하는 것이 가능한건가요?
이종우
[질문] 한국 및 중국, 홍콩 등의 아시아권 이커머스 사이트에 적용할 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해당 규모에서의 적용사례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다른 시스템 과의 비교도 부탁드립니다.
허재홍
해외 사례는 Adobe가 있으며, CSP는 Azure/AWS를 활용하여 제공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이외에도 많지만 Non Disclosure라 특정 고객사 답변 못드리는 부분 양해 부탁 드립니다.
박지훈
(질문) 현재 실제적으로 어느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기술적 발전 방향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시나요?
이호승
[질문] GSLB 를 구성할때 현재 네트워크 벤더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vm웨어 솔루션으로 마이그레이션 하면 어떤 장점이 생기는지 궁금하고 운영의 편의성이 구체적으로 어떤점인지 알고 싶습니다.